화장품 해외영업, 수출은 이렇게 시작하세요

사무실에서 강연자가 화장품 해외 수출 관련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는 장면. 슬라이드에는 '화장품 해외영업, 수출은 이렇게 시작하세요'라는 제목이 표시되어 있음
K-뷰티 수출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뷰티·코스메틱 업계 해외영업 글로벌 마케팅·상품기획 실무자를 위한 수출 전략 가이드를 성공 브랜드 사례까지 최신 자료들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K-뷰티 수출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뷰티·코스메틱 업계 해외영업글로벌 마케팅·상품기획 실무자를 위한 수출 전략 가이드를 성공 브랜드 사례까지 최신 자료들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 화장품 산업 실전자료가 필요하신가요?

글에서 소개한 내용을 더 깊이 정리한 PDF 교육자료를 준비해두었습니다.

✅ 화장품 산업 실전자료 PDF ✅ 화장품 바이어 리스트

최근 K-뷰티 산업의 대미 수출액이 프랑스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거, 알고 계셨나요? 하지만 정작 브랜드 현장에서는 이런 말이 자주 들려요: “제품은 잘 나왔는데… 바이어를 어디서 어떻게 만나야 할지 모르겠어요.”

사실 수출은 브랜드를 만드는 일보다, 바이어를 만나는 일이 먼저일지도 몰라요. 이번 콘텐츠는 OEM/ODM 수출 실무를 직접 경험한 슈에뜨코스메틱의 노흥선 대표이사님 강연을 바탕으로, 바이어 발굴 중심으로 정리해봤습니다.

슈에뜨코스메틱은 국내외 고객사를 위한 스킨케어·메이크업 제품을 전문 개발하는 화장품 제조사로, FDA, CFDA, CPNP 등 국가별 인증 대응부터 해외 바이어와의 협업 실무까지 실전 경험이 많은 기업이에요.
사무실 공간에서 발표자가 'K-뷰티 성공사례' 및 해외 바이어 발굴 전략을 설명하는 프레젠테이션 진행. 슬라이드에는 바이어 확보 채널로 해외 박람회가 유효하다는 내용이 포함됨. 청중이 앉아 발표를 경청하고 있음

Q. 바이어는 어디서 찾아야 할까요?

해외 박람회는 여전히 유효한 채널이에요. 직접 보여주고 이야기하는 것만큼 설득력 있는 건 없죠.

하지만 박람회만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비용이 많이 들고, ROI 관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채널들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글로벌 B2B 플랫폼: 알리바바, 아마존 등에서 직접 바이어와 연결
  • 국내 유통 채널 활용: 올리브영 등에서 판매 → 해외 소비자 구매 → 해외 바이어 관심 및 연락
  • 콘텐츠 중심 리드 생성(Pull)과 바이어 직접 접근 전략(Push)을 병행
    • Push: 해외 박람회, 수출 상담회, 현지 파트너 발굴을 통한 직접 제안 및 브랜드 인지도 확보
    • Pull: 브랜드 스토리와 제품력을 담은 콘텐츠 → 검색·SNS 유입 → 문의 및 리드 전환
단기적으론 Push 전략이 효과적이며, 중장기적으로 Pull 전략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수출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요즘은 바이어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찾아가고 끌어오는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Q. 바이어가 가장 궁금해하는 건 뭘까요?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아래 5가지만 잘 정리돼 있어도 반은 먹고 들어가요:

  1. 인증: 국가별 필수 인증 확보 여부 (FDA, CFDA 등)
  2. 제조 안정성: 납기 이행 능력, 품질관리 체계
  3. 브랜드 스토리: 왜 이 제품을 만들었는지, 브랜드 인지도나 마케팅 애셋(아시아 판매이력, 수상경력, SNS콘텐츠, 이미지, 영상, 홍보 연예인 등)
  4. 히트 제품 존재 여부: 대표 제품이 뭔지 한눈에 보여줄 수 있는가
  5. 기초 자료 준비: 가격표, MOQ, 샘플, 마진 구조 등
화장품이 연구개발부터 제조, 품질관리까지 어떤 과정을 거쳐 생산되는지 단계별로 설명한 다이어그램입니다. R&D, 원료 선택, 포뮬레이션, 안정성 테스트, GMP 기반 생산 등의 흐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Q. 바이어가 제품을 수입하기까지 어떤 흐름으로 진행되나요?

“그냥 제품 만들어서 해외에 팔면 되는 거 아닌가요?”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시지만, 실제 바이어와의 거래는 훨씬 더 복잡한 과정을 거칩니다.

아래는 바이어가 제품을 수입하기까지의 실제 흐름 입니다:

  1. 제품 라인업 및 스펙 확인 (INCI, 전성분, 제형 등)
  2. 인증/등록 관련 자료 공유 (FDA, CPNP 등)
  3. 샘플 수령 및 품질 테스트
  4. 가격/MOQ/납기 협의 (물류 조건 포함)
  5. 계약 체결 및 주문 확정
  6. OEM/ODM 생산 – 포장 – 출고 – 수출입 통관
  7. 론칭 지원 자료 전달 (이미지, 광고 문구, 제품 사용법 등)
제품 개발 → 유통/수출 구조 설계 → 바이어 발굴 → 수입 전환
2024년 화장품 업계 현황. 총 13,976개 업체, 전년 대비 17.8% 증가. 소규모 업체 88%, 기초화장품 점유율 39.8%로 1위, 색조 23.6%, 바디/헤어케어 19.9%.

Q. 실제로 수출에 성공한 브랜드들은 뭐가 달랐나요?

  • 그라운드플랜: 라이프스타일 향수, 바디케어, 홍콩 수출, 바이어 관리, 발주 증가, 캐나다·일본 진출
  • 랜딩인터내셔널: Ulta Beauty, 담당자 발굴, 관계 구축, K-뷰티 섹션, 12개 브랜드 입점, 온·오프라인 공략, 팝업스토어, 소비자 리드 확보
  • 티르티르 / 달바 / 토리든 : 대형 리테일 협상, 물리적 스토어, 브랜드 인지도 향상, 품질 경쟁력, 가격 경쟁력, 생산 유연성

공통점은 명확합니다: 잘 만든 하나의 제품 + 타깃을 정확히 겨냥한 세일즈 전략

화장품 업계 보고서 ‘해외 진출 전략 및 트렌드’ 슬라이드. 지역별 맞춤 진입 전략, 글로벌 파트너십, 2025년 주요 트렌드, 성공 사례(코스알엑스·닥터자르트·멜로우터치) 인사이트를 요약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신가요?

화장품 수출을 시작하는 브랜드와 제조사를 위해, 실전형 자료를 무료로 제공해드립니다.

✅ 화장품은 어떻게 개발되고 만들어지는가? – 개발부터 제조까지 A to Z

✅ 왜 지금 K-뷰티인가? – 수출 성장률과 글로벌 위상

✅ 바이어 발굴 중심의 글로벌 진출 성공 전략

이 콘텐츠에 포함된 내용은 일부만 발췌된 것으로, 전체 PDF 자료가 필요하신 경우 딥세일즈에 문의해 주세요.

딥세일즈는 이런 걸 도와드립니다

제품은 좋은데, 바이어 문의는 없으신가요? 그건 마케팅보다 ‘구조’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딥세일즈는 단순한 홍보 플랫폼이 아니라, 브랜드의 리드 전환 구조를 설계하는 파트너입니다.

  • AI 기반 잠재고객 검색
  • 국가, 산업군 등 필터 기반 탐색
  • 팀 단위로 공유 및 협업 가능
  • CRM 외부 툴과 연동하여 업무 자동화 지원
  • 유입된 리드와 실제 상담/거래로 이어지는 흐름 설계

함께 보면 좋은 실전 콘텐츠